어릴 때부터 돈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했기 때문에 항상 부자가 되고싶었습니다. 정작 어떻게 해야 부자가 되는지는 알려고 하지 않은채로 말이죠.
부모님 말씀처럼 작은 돈, 큰 돈 조금씩 아껴서 저축하고 그렇게 시간이 흐르면 부자가 될 줄 알았습니다. 경제에는 무지했고 알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고 무슨 이슈가 있는지에 크게 생각이나 고민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지금 생각 해보면 '하루라도 빨리 그게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공부를 시작했으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을 하지만 지금도 늦지 않았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면서 경제 공부를 조금 더 적극적으로 해보려고 합니다.
경제 공부를 시작하고 변한점이 있다면 사회적 이슈나 세계적 이슈들에 관심이 많아졌다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최근에 있었던 ‘미국 대통령 선거가 세계의 경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이런 이슈들을 직접 찾아보고 고민하고 생각하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별 것 아닌 일 같지만 알면 알 수록 재미도 있고 보람도 느끼고 있습니다. 그리고 경제 관련 책을 사서 읽기 시작했습니다.
여러권의 책을 읽었고 그 중에서 스노우폭스의 회장이신 김승호님의 돈의 속성이라는 책에서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면서 적어도 이정도의 경제용어들은 알아야 한다며 강조하셨던 용어들이 있었습니다. 저도 마침 뉴스나 경제 유튜버 분들의 동영상을 볼 때 저게 무슨 뜻이지?? 하는 경우들이 있었고 이런 것들을 공부하면서 정리하고 기록해야 더 기억에 오래 남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혹시 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서도 경제 공부가 처음이시라면 지금도 늦지 않았으니 저와 함께 공부를 시작 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투자 > 금융문맹 탈출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국제통화기금(IMF), 국채, 금본위제, 금산분리 (0) | 2021.02.28 |
---|---|
4. 국가채무, 국내총생산, 국민소득, 국민총소득 (0) | 2021.01.31 |
3. 공공재, 공급탄력성, 공매도, 국가신용등급 (0) | 2021.01.28 |
2. 고용률, 고정금리, 고통지수, 골디락스경제 (0) | 2021.01.23 |
1. 가산금리, 경기동향지수, 경기종합지수, 경상수지 (0)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