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투자 공부

투자 공부 - 나쁜 주식을 거르는 방법과 좋은 기업을 고르는 방법

송파동 지박령 2021. 2. 21. 18:17

 

 

youtu.be/F63b3qSWs4o

 

 오늘은 유튜버 레인메이커님의 영상을 참고하여 나쁜 주식을 거르는 방법과 좋은 주식을 고르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1. 대상 종목을 미리 설정 해놓고 적정 매수가를 설정한다.

2. 밸류에이션을 미리 완료 해두고 매수가에 도달 했을 때 대상 종목을 매수한다.

3. 떨어지고 나서 보면 패닉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다.

 

나쁜 주식을 거르는 6가지 방법

 

1. 수주산업에 속한 기업 ex) 반도체 장비, 디스플레이 장비, 건설업 수주 등등

 수주산업은 실적의 업다운이 심하고 전방산업 업황의 영향을 굉장히 심하게 받아서 예측이 불가능하다. 대외적 변수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예를들어 조선산업은 유가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이해하기 어렵고 산업구조가 복잡하게 얽혀있다.

 

2. 원자재에 높은 수준으로 엮인 기업은 제외하자.

 원자재는 국제경제, 정치 등 거시 변수 영향을 굉장히 심하게 받는다. 거시 변수는 그 움직임을 알 수도 없고 미리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한 기업의 실적이 원자재 가격 변동에 밀접하게 연동된다면 초보 투자자 수준에서는 사놓고 기도를 해야하는 샤머니즘 투자를 하게된다. 단순하고 좋은 기업이 많기 떄문에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기업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

 

3. 아무리 좋아도 비싼 기업은 피해야 된다.

 투자에서 가장 위험한 것은 비싸게 사는 것이다. 싸게 사려면 (비싼 주식을 피하려면) 그 회사에 대한 밸류에이션을 받으시 해야 한다. 가격은 어떤 기준도 제공하지 않는다

 

4. 이해하기 어렵거나 복잡한 기업은 피한다.

고성장이 기대되는 산업에서는 변화도 빠르고 경쟁도 심해서 이해가 빠르게 따라가기 어려워서 투자하기가 쉽지 않다. 본인이 이해하기 어렵고 복잡한 분야를 피하자. (이해하기 쉬운 산업에 투자를 해야한다.) 좋은 투자는 직관적이고 단순하다. 최대한 단순하게 투자를 해야 투자한 기업에 예기치 못한 변수가 생겨도 대처가 가능하다. 이해하기 어려운 분야의 기업에 투자를 했다면 대처하기가 어렵고 공포감에 패닉 셀을 하게된다.

 

5. 사이클 산업 투자는 거른다.

 사이클 산업에 속한 기업이야 말로 난이도 최상급의 투자이다. 사이클 산업에 굉장히 흔히 있는 변동성이나 불확실성이 아무리 위험이 아닌 기회라고 해도 그 정도가 너무 크면 투자자가 견딜 수가 없게된다.

 

6. 재무상태가 의심되거나 도덕적 문제가 의심되면 무조건 거르자. (매우 중요)

 

재무상태가 의심되는 기업이란

첫 번째, 복합금융 상품이 많은 기업 - 정상적인 차입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복합금융상품을 이용한 것이다.

두 번째, 벌어들인 돈이 현금에 쌓이지 않고 의심스러운 자산에 쌓이는 기업 - 이해하기 어려운 회사를 굉장히 고가에 인수하는 행위 등

세 번째, 영업에서 특징적인 것이 없는데 현금이 급속하게 소진중인 기업

네 번째, 재고자산과 매출채권의 회전율이 급격히 하락하는 경우

다섯 번째, 도덕적 문제가 의심되는 기업 - 이익 몰아주기를 하는 경우 (재무제표 주석 또는 사업보고서에서 쉽게 확인 가능)

                                                                         - 과도한 임원 연봉을 주는 회사

 

 

youtu.be/KwAjGpWJii0

 

좋은 주식을 고르는 5가지 방법

 

1. 좋은 기업은 단순하고 깔끔하다. 최대한 단순하고 명료한 기업들을 보는 연습을 많이해야 한다. 

 

2. 독점 혹은 과점기업을 선택해야 한다. - 독점이나 과점이라는 말은 해당 섹터에 지배자라는 뜻. 지배자는 가격을 컨트롤할 수 있는 힘을 보유하고 있다. 대체품이 없는 독점 회사가 가격을 결정할 권한이 있고, 당연히 수익이 좋을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생각할 수 있다. 수익성도 중요하지만 수익의 지속성도 중요하다.

 강력한 독점기업은 후발주자가 자신의 섹터에 감히 발을 들여놓지 못하도록 하는 '무언가'를 보유하고 있다.

 

3. 해자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 해자 = 장애물 = 진입장벽

 기업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은 모방이다. 경쟁자의 출현은 기업에게 있어 큰 위협이다. 해자의 종류에는 기술력, 경쟁자 출현 자체가 어려운 환경, 충성도 높은 브랜드 등이 있다. 기술력이라고 함은 핵심기술을 뜻한다. 독점 + 가격지배력 + 해자 + 단순한 기업 = 선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다. 

 

4. 이익의 질이 좋고 현금창출력이 뛰어난 기업.

 현금을 중요하게 봐야한다. 돈을 벌긴 하지만 경쟁력 유지를 위해 번 돈을 설비투자에 모두 소진하는 기업은 좋지 않은 기업이다. 

 

5. 결국 좋은 기업을 싸게 사야한다. (가장 중요)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싸게 사야한다. 우리는 이길 수 있는 곳에서만 싸우면 된다. 확실히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싸게 사는 것이다. 싸다고 판단을 하려면 밸류에이션이 필요하다. 밸류에이션은 반드시 혼자 해보아야 한다. 

 

 마무리 정말 중요한 이야기

 투자할 때 망상에 빠지면 안 된다. 좋은 기업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에 집중 해야지 세력, 큰손, 검은머리 외국인 어쩌고 다 망상이다. 그런 거 없다. 투자에 망상이 개입하게 되면 자꾸 남탓을 하게된다. 자신의 기준을 만들어 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