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투자 공부

투자 공부 - 기초적인 종목발굴 방법

송파동 지박령 2021. 2. 25. 12:06

 

 

youtu.be/7O1B8WwJLMQ

 

  오늘은 종목발굴 방법에 대해 괜찮은 영상이 있어서 한번 보고 복기하는 겸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좋은 기업을 찾으려고 해도 대체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굉장히 답답 했는데 영상이 참고가 많이 되었습니다. 

 먼저 HTS를 통해서 검색을 하는 방법과 웹페이지 스크리너를 통해서 종목을 발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십니다. 꼭 시간을 내서 봐야할 영상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한 번씩 보시면 좋겠습니다.

스크리너 (fnguide.com)

 

 앞으로 한국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대해 남들이 관심을 갖지 않는 부분들을 체크 해보고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투자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또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에 관심을 갖자.

피터린치의 책 월가의 영웅에서도 일상생활에서 투자 아이디어를 얻는 것이 가장 좋다고 나와있습니다. 내 주변 친구들이 요즘 무엇에 관심이 있고 사회적인 이슈가 무엇인지 끊임 없이 관심을 가지고 상상을 하라고 말이죠.


 영상에서 나온 것처럼 다트에서 공시서류검색 통합검색메뉴를 누르시고 검색어에 원하시는 검색어를 치시고 보고서명에 사업보고서를 치신 뒤에 검색을 해보는 겁니다. 영상의 예시처럼 전기자동차를 검색 해봤는데 해당 기업들의 사업보고서가 나오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많이 읽어야된다. '부자가 되려면 활자랑 친해져야 한다.' 역시 다독만이 살 길인가 봅니다. 부자가 되기 위해서 읽어야 된다면 아무리 어려운 보고서나 하기 싫더라도 하게 되지 않을까요. 요즘 리포트 뿐만 아니라 주식투자의 대가들이 쓰신 책도 두루두루 읽고 있는데 주식투자를 무작정 시작하기 보다는 이런 서적이나 블로그 관련 글을 읽고 자신의 투자 마인드를 찾는 것도 좋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는만큼 보이고 들리는 것이니까요.

 어제 주말을 통해서 제가 자주 보고 있는 한 블로거 분께서 유튜브 방송을 하시는 것을 봤는데 그분은 하루에도 10개도 넘는 리포트와 관련 기사를 보시더라구요. 물론 전업투자자셔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 분께서 강조 하신 투자 아이디어를 얻는 방법은 신문, 리포트, 블로그, 스터디 딱 이렇게 4개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많이 보는 것이라고도 하셨구요. 저도 코로나가 끝나면 경제에 관련된 스터디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있습니다.

 투자 실력을 빨리 향상 시키려면 직접 리포트를 써보는 방법이 좋다고 합니다. 기업의 개요부터 무엇을 하는 회사이고 무엇을 만드는 회사인지, 현재 상황이 어떻고 투자포인트가 무엇인지에 대해 정리를 하고 그 회사의 펀더멘털(실적)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지에 대한 정리를 스스로 해보는 것이죠. 거기에 투자 리스크까지 정리를 해서 이 회사가 내 눈에는 좋아 보이지만 그래도 이런 나쁜점이 있다. 이런 식의 정리와 마지막으로는 그 회사의 밸류에이션을 직접할 수 있는 수준까지 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기업의 개요, 투자포인트, 리스크, 밸류에이션

 내 스스로만이 아닌 남들까지 설득할 수 있을 정도의 밸류에이션을 스스로 할 수 있어야 된다. 앞으로 이런 식으로 정리를 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아주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해줄 수 있을 정도로 그 회사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직접 설명을 했을 때 납득을 하는지 물어보는 과정을 거쳐보도록 해야겠습니다. 

 주식 투자 집행 프로세스에 관해 송종식님이 쓰신 글이 있어서 한번 가지고 와봤습니다. 인사이트도 정말 좋으시고 보고 배워야 할 점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식 투자 집행 프로세스 - 송종식의 IT와 가치투자 이야기 (investor-js.blogspot.com)

 

송종식의 IT와 가치투자 이야기

주식, 부동산, 사업과 IT 프로그래밍, 예술과 인문학에 대한 이야기를 다룹니다.

investor-js.blogspot.com